표절에 관하여 - 황현산 > 문학 강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문학 강좌

  • HOME
  • 문학가 산책
  • 문학 강좌

(관리자 전용)

☞ 舊. 문학강좌

표절에 관하여 - 황현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3,710회 작성일 16-01-27 09:41

본문

표절에 관하여

 

황현산

 

[경향신문] 2015-06-24

 

당나라 시인 송지문(宋之門)의 시 <유소사(有所思)>에는 “해마다 꽃은 그대로건만, 해마다 사람은 달라지네(年年歲歲花相似 歲歲年年人不同)”라는 유명한 시구가 들어 있다. 이 구절은 본디 송지문의 사위 유희이(劉希夷)의 소작이었으나, 장인이 사위를 죽이고 시구를 편취해 자기 시에 넣었다는 말이 있다. 디드로의 소설 <라모의 조카>에서, 18세기 프랑스의 유명한 작곡가 필립 라모의 조카인 건달 작곡가 프랑수아 라모는 자기 삼촌의 작품이 자기 작품이었더라면 자신을 둘러쌀 영광을 오랫동안 몽상한다. 그리고는 가끔 자기 삼촌이 미발표 작품을 한두 편이라도 남겨놓고 죽기를 바란다. 앞의 이야기는 믿기 어려운 야사이고, 뒤의 이야기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희화적 어조의 소설이지만, 두 이야기가 모두 창조의지와 표절의 욕망이 비극적이건 희극적이건 얼마나 강렬하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말해준다.



창작하는 사람에게 표절의 욕망은 그 창조의지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고 말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사르트르의 말을 빌린다면, 창조의 의지는 정복의 의지와 같다. 창조는 우리가 손님으로 살고 있는 이 세상에 어떤 풍경 하나를 만들어 덧붙임으로써 제한된 시공에서나마 이 세상의 주인으로 행세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기가 만든 것은 그 결함이 제 눈에 보이지만 남의 창작품은 늘 완벽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 완벽함의 주인이 되는 것은 이 세상의 주인이 되는 것과 같으니, 그에 대한 욕망은 다른 모든 욕망을 압도할 수 있다.



때로는 창조와 표절이 구분되지 않을 때도 있다. 보들레르의 시 <불운>은 땅속에 묻혀 있는 보석처럼, 혹은 꽃피웠으나 눈에 띄지 못한 꽃들처럼, 실현되지 못했거나 실현되었어도 주목받지 못했던 훌륭한 재능들을 안타깝게 여기는 시구를 담고 있다. 이 시구들은 영국 시인 토머스 그레이의 유명한 시 <시골 교회묘지에서 쓴 엘레지>에서, “수많은 보석들이 가장 순결하고 정갈하게 난바다의 깊고 헤아릴 수 없는 심연에 누워 있고, 수많은 꽃들이 눈에 띄지 않게 피어 인적 없는 황야의 대기에 그 아름다움 헛되이 낭비하려고 태어났다”는 몇 줄의 시구가 번안을 통해 보들레르의 시구로 둔갑한 것이다. 그러나 <불운>을 표절작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이 정형시의 시대에 보들레르가 영어와 프랑스어의 담을 넘으면서 깨어진 시구의 리듬과 각운을 프랑스어로 새로 만들어야 했던 노력이 컸기 때문이다.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가 처음 발표되었을 때, 그 시가 폴 엘뤼아르의 시 <자유>를 표절했다고 생각했던 사람들도 민주화의 대의를 위해 입을 다물었다. 어떤 것이건 손에 잡히는 것을 들고 싸워야 했던 시절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엘뤼아르의 <자유>가 길고 반복적인 성찰로 자유를 내면화하는 데 비해 민주주의를 절규하는 목소리로 ‘호소’하는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는 그 감동이 그만큼 더 직접적이기에 더 훌륭한 시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그것이 표절을 말하려는 사람들의 입을 다물게 만들기도 했다.



신경숙씨의 소설 <전설>이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우국>을 표절했다는 주장이 문화계를 휘몰아쳤을 때도, 여전히 작품의 우열론으로 사태를 물타기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작가의 국제적 명성을 상기시키며 저 끔찍한 ‘국익론’을 들고 나오는 사람까지 있었다. 그러나 누구의 눈에도 명백하게 드러나는 표절이 어떤 ‘정상참작’에 의지한다 하더라도 표절 아닌 것으로 바뀔 수는 없다. 이 무모한 시도들이 문단 전체를 궁지에 몰아넣은 것이 사실이며, 신경숙씨 자신도 표절을 부인하는 발언으로, 혹은 마지못해 표절을 인정하는 태도로, 자신의 독자들을 두 번 실망시키는 꼴이 된 것이 또한 사실이다.



이 표절 문제와 관련하여 지난 23일 작가회의에서 주최한 긴급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선 평론가 이명원 교수에 따르면, 15년 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신경숙 작가의 표절론이 제기되었지만, 작가는 논리적이라기보다 차라리 상대의 입을 막는 방식으로 사태를 잠재워 왔다. 표절은 법과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작가의 양심에 관한 문제다. 그래서 한 작가가 다른 작가를 모방했다는 지적보다 그 작가에게 더 불리한 정보는 없다. 그것은 한 작가의 윤리와 작가의식을 부정하는 것이며, 그 작가의 작가됨을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작가의식은 어떤 경우에도 작가를 지켜줄 마지막 보루이기에 작가의식이 없는 작가를 상상할 수는 없다. 이 사태 해결의 열쇠 또한 작가 그 자신의 손에 쥐어져 있을 수밖에 없다.



표절론이 제기되었을 때, 신경숙씨가 자신의 독자들에게 호소했던 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문학시장에서 상품성이 높은 작가였다. 이 대중적 인기는 몇몇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오직 문학권력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거꾸로 문학비평가들은 시장의 평가에 문학적 평가를 덧씌우는 일을 해왔다. 사람들은 문학권력을 말하지만 정작 문제되는 것은 문학의 비루함이 아니었을까. ‘잘 팔리는 작가’에서 ‘훌륭한 작가’가 되는 이 과정에서 작가는 자신의 작가의식을 확고하게 다질 수 있는 기회를 붙잡아내지 못했다. 이 정황은 신경숙씨 개인의 불행을 넘어서 문단의 불행이 되었다.



표절 사태가 불거지자 어느 전직 대학교수가 신경숙씨를 ‘업무방해와 사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였다. 이는 문단의 자정능력을 의심하는 데서 더 나아가 문학의 기능 자체를 부정하는 일이 된다. 문학은 아무리 세속화하였다 하더라도 전통적으로 주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기능을 제일의 기능으로 삼는다. 표절 시비를 국가제도의 판단에 넘긴다는 것은 주류 권력과 이데올로기의 손에 넘기는 것과 같다. 한 나라의 문학에, 또는 한 나라의 미래 전망에 이보다 더 큰 재난은 없다.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는 작가 자신의 손에 쥐어져 있다고 나는 벌써 말했다. 이 말은 그가 왜 최초에 작가가 되려고 했는지, 자신에게 글쓰기의 진정한 동력이 되었던 것이 무엇인지를 다시 물어야 한다는 말과 같다. 그는 외부의 압력을 의식하지 않는 자리에서 철저하게 자신의 마음 밑자리를 성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테면, 표절행위가 가져온 어떤 심리적 부담이 <우국>을 읽었다는 사실까지 망각하게 한 것은 아니었는지부터 자신에게 캐물어 볼 수 있을 것이다.



표절의 지적은 작가에게 가장 불리한 정보라고 나는 벌써 말했는데, 이런 정보가 늘 극단적인 형식으로 제시되어 맹렬한 바람에 실릴 때만 소통된다는 것도 이 사회의 비극이다. 무거워진 정신상태는 저마다의 각성으로만 가벼워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황현산 | 문학평론가·고려대 명예교수


....................................................................................................................................................

 

자유

 

폴 엘뤼아르 (1895~1952)

 

초등학교 시절 노트 위에

나의 책상과 나무 위에

모래 위에 눈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내가 읽은 모든 페이지 위에

모든 백지 위에

돌과 피와 종이와 재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황금빛 조상(彫像) 위에

병사들의 총칼 위에

제왕들의 왕관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밀림과 사막 위에

새 둥우리 위에 금작화 나무 위에

내 어린 시절 메아리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밤의 경이로움 위에

일상의 흰 빵 위에

결합된 계절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누더기가 된 하늘의 옷자락 위에

태양이 곰팡 슬은 연못 위에

달빛이 싱싱한 호수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들판 위에 지평선 위에

새들의 날개 위에

그리고 그늘진 방앗간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새벽의 입김 위에

바다 위에 배 위에

미친 듯한 산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구름의 거품 위에

폭풍의 땀방울 위에

굵고 무미한 빗방울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반짝이는 모든 것 위에

여러 빛깔의 종들 위에

구체적인 진실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깨어난 오솔길 위에

뻗어나간 큰 길 위에

넘치는 광장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불 켜진 램프 위에

불 꺼진 램프 위에

모여 앉은 나의 가족들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둘로 쪼갠 과일 위에

거울과 내 방 위에

빈 조개껍질 내 침대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게걸스럽고 귀여운 우리집 강아지 위에

그의 곤두선 양쪽 귀 위에

그의 뒤뚱거리는 발걸음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내 문의 발판 위에

낯익은 물건 위에

축복받은 불의 흐름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화합한 모든 육체 위에

내 친구들의 이마 위에

건네는 모든 손길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놀라운 소식이 담긴 창가에

긴장된 입술 위에

침묵을 넘어선 곳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파괴된 내 안식처 위에

무너진 내 등댓불 위에

내 권태의 벽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욕망 없는 부재 위에

벌거벗은 고독 위에

죽음의 계단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되찾은 건강 위에

사라진 위험 위에

회상 없는 희망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그 한마디 말의 힘으로

나는 내 삶을 다시 시작한다

나는 태어났다 너를 알기 위해서

너의 이름을 부르기 위해서

 

 

자유여.

 

------------------------------------------------------------------------------

 

타는 목마름으로

 

                    

김지하

 

신 새벽 뒷골목에

네 이름을 쓴다 민주주의여

내 머리는 너를 잊은지 오래

내 발길은 너를 잊은지 너무도 너무도 오래

오직 한 가닥 있어

타는 가슴 속 목마름의 기억이

이름을 남 몰래 쓴다 민주주의여

 

아직 동 트지 않은 뒷골목의 어딘가

발자욱 소리 호르락 소리 문 두드리는 소리

외마디 길고 긴 누군가의 비명 소리

신음 소리 통곡 소리 탄식 소리 그 속에 내 가슴팍 속에

깊이깊이 새겨지는 내 이름 위에

네 이름의 외로운 눈부심 위에

 

살아 오는 삶의 아픔

살아 오는 저 푸르른 자유의 추억

되살아 오는 끌려가던 벗들의 피 묻은 얼굴

 

떨리는 손 떨리는 가슴

떨리는 치떨리는 노여움으로 나무판자에

백묵으로 서툰 솜씨로

쓴다.

 

 

숨죽여 흐느끼며

네 이름을 남 몰래 쓴다.

타는 목마름으로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여 만세. 

  

...........................................................................................................................................................................................

'표절 의혹' 작품이 버젓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 김지하의 유명 시 '타는 목마름으로'도 표절 논란에 휩싸여
    문학평론가 황현산 "발표됐을 때 모두 표절인 걸 알았지만…"

  • [서울경제] 2015.06.18

  • 한국아이닷컴 이찬미 기자
    표절 의혹을 받고 있는 김지하의 시 ‘타는 목마름으로’가 교과서에까지 수록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문학평론가 황현산은 최근 자기 트위터에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가 발표되었을 때, 사람들은 그게 (폴) 엘뤼아르의 표절인 걸 알았지만 말하지 않았다. 민주화의 대의가 중요했기 때문. 지금 생각하면 그게 잘한 일이었는지 묻게 된다”라는 글을 올렸다. 시인 노태맹도 올 초 한 지방지에 게재한 글에서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라는 시는 엘뤼아르의 ‘자유’라는 시를 대 놓고 베낀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타는 목마름으로’가 ‘자유’를 표절했다는 의혹은 오래전부터 제기됐다. 2000년대 중반에도 변형이냐 표절이냐를 놓고 논란이 일었다. 김지하 역시 ‘자유’의 영향을 받아 ‘타는 목마름으로’를 썼다는 건 부정하진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엘뤼아르와 김지하의 작품은 억압 속에서 자유를 부르짖는 강렬한 주제의식, 자유와 민주주의를 각각 의인화해 이인칭으로 호칭하는 점, ‘쓴다’는 행위를 반복해서 열거하는 점 등에서 닮았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도 두 시는 모두 짧은 문장을 나열해 작품을 완성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문단 일각에서는 소설가 신경숙이 한 문단의 유사성 때문에 표절 시비에 휘말린 만큼 이참에 김지하의 작품에 대해서도 시비를 가려야 한다는 지적이 조심스럽게 일고 있다.

     
    ‘타는 목마름으로’의 표절 시비를 명확하게 가려야 하는 이유는 이 시가 교과서에까지 수록돼 있을 정도로 유명한 데다 수많은 국민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기자가 취재한 결과 현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2종에 ‘타는 목마름으로’가 수록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많은 학생이 표절 의혹이 있는 작품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작품을 접하는 셈이다. 언어영역 모의고사에도 ‘타는 목마름으로’가 종종 지문으로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험생들이 다른 교과서에 수록된 시까지 공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시를 접하지 않은 학생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워낙 주제와 호소력이 강한 탓에 작품을 읽고 감명 받은 학생도 적잖다. 한 네티즌은 “수능을 두 번 공부했고 언어영역을 공부할 때마다 이 시(‘타는 목마름으로’)를 읽고 가슴이 뛰고 뭉클해졌던 기억이 난다”는 글을 자기 블로그에 올리기도 했다.


    ‘타는 목마름으로’는 정치인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끼친 작품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정몽준 전 새누리당 최고위원이 ‘타는 목마름으로’를 애송시로 꼽은 적이 있다. ‘타는 목마름으로’를 원작으로 한 동명의 민중가요도 유명하다. 안치환 김광석 등 유명 가수가 불러 일반인에게까지 잘 알려져 있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27건 1 페이지
    문학 강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22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5 0 12-05
    22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1 0 12-05
    22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91 0 04-05
    22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99 0 03-28
    22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08 1 03-25
    22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46 3 03-24
    22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362 2 03-23
    22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19 3 03-22
    21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20 2 03-21
    21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31 0 03-18
    21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47 0 03-17
    21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44 0 03-16
    21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55 1 03-15
    21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45 0 03-14
    21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97 0 03-10
    21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95 0 03-09
    21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52 0 03-08
    21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74 0 03-07
    20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99 0 03-04
    20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16 0 03-03
    20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8 0 03-02
    20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65 0 02-29
    20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53 0 02-26
    20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12 0 02-25
    20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02 0 02-24
    20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14 2 02-23
    20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61 0 02-22
    20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23 0 02-19
    19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09 1 02-18
    19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84 1 02-17
    19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28 1 02-16
    19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64 0 02-15
    19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26 1 02-12
    19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85 1 02-11
    19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61 1 02-05
    19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04 0 02-04
    19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40 1 02-03
    19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31 1 02-02
    18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64 0 02-01
    18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18 0 01-29
    18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71 0 01-28
    열람중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11 0 01-27
    18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48 0 01-26
    18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41 0 01-21
    18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24 0 01-20
    18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96 0 01-19
    18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8 0 01-18
    18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51 0 01-15
    17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03 0 01-14
    17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46 1 01-12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