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지리산문학상 수상 > 시마을동인의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시마을동인의 시

  • HOME
  • 창작의 향기
  • 시마을동인의 시

    (시마을 동인 전용)

  ☞ 舊. 시마을동인의 시

 

제13회 지리산문학상 수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활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8건 조회 806회 작성일 18-07-09 05:35

본문

【2018년 제13회 지리산문학상 수상자 정윤천 시인 當選作】



새들의 무렵 같은

정윤천



하루치의 기차를 다 흘려보낸 역장이 역 앞의 슈퍼에서 자일리톨 껌 한 통을 권총 대신 사들고 석양의 사무실 쪽으로 장고나 튜니티처럼 돌아가는 동안과

세간의 계급장들을 하나 씩 떼어
부리에 물고
새들이 해안 쪽으로 날아가는 무렵과
날아가서 그것들을 바다에 내다 버리는 소란과

이 무소불위의
전제주의와

(체재에 맞추어 불을 켜기 시작하는)
카페와 술집과 소금구이 맛집들과
무얼 마실래?와 딱 한 병씩만 더 하자와 이인 분 추가와

헤아려 보거나와

잊어버리자와.


(공정한 시인의 사회 2018 6월호)




물고기 같은 저녁이 온다

정윤천



아직 숨이 붙은 시간을 들고 물가로 간다
지금부턴 누구나 위험해 진다
물고기는 물고기를 잘 꺼내주지 않는다

아이를 잃은 어미들이
나타날 거라고
장세(場勢)가 철썩거리는 일들도 벌어진다

우산을 든 물고기들이 태어날지도 모른다
칼을 들고 설치는 물고기들이 나타날지도 모른다
찔러도 더 이상 찔림이 없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유리그릇을 파는 집을 지나간다
관상이 사라진 관공서 옆을 지나간다
국기가 사라진 국가들 속을 지나간다

미용실 닮은 발음에게로
웨이브를 주고 있는
물가에 닿은 발목들이 나타난다

귓밥 같은 숨을 파내보는
수족관들의 밑으로

물고기를 굽는 것 같은
저녁이 온다.


(딩아돌하 2018 여름)




저녁의 연극

정윤천



관중석에 앉아 무대 위 관객들의 대사와 몸짓을 보아주는 단역이다 주연 급에선 멀어진 조역 이지만 때를 놓치지 않고 박수를 쳐주어야하는 씬이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하였다 관객의 몸짓들이 격렬해져 간다 인생이 연극이라는 빤한 소리에게로는 귀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 더 센 바람이 부는 무대 쪽으로 옮겨 간 관객들도 더러 있었다 엔딩을 알리는 암전 뒤에서 무대의 관객들이 객석의 배우들 쪽으로 배꼽 인사를 올린다 옆에 앉은 출연진들과 긴 박수를 쳐주는 것으로 소극장에서의 공연은 끝이 났다

호프집으로 이어지는 저녁의 공연이 한 편 더 남아 있었다 골목 세트장은 쌀쌀했고 저녁의 연극 쪽으로 들어서는 내 연기 생활 위로도 바람이 불어간다 마타리처럼 길가에 늘어선 불빛의 이파리들 속에서

저녁이라는 조역 하나도 저를 몹시 열연해보는 중이었다.


(시에티카 2018 상반기)




마루

정윤천



그가 이 莊園의 백년손님이었다는 사실을 전 쟁반을 들고 왔던 행랑 처자가 놓고 갔다 품이 깊었던 친구의 심성이 미더웠던 순간들이 떠올랐다 마음이 시켰을지도 모르는 동작으로 신발코를 공손하게 돌려놓아 주었다 백 년 전부터 그래 왔다는 듯 검고 부드러운 윤이 슬어 있었다 마루라고 불리는 그런 일 앞에서 였다.


(시와 사람 2018 봄)




발해로 가는 저녁

정윤천



발해에서 온 비보 같았다 내가 아는 발해는 두 나라의 해안을 기억에 간직하고 있었던 미쁘장한 한 여자였다 마을에서는 유일하게 자전거를 다루어 들을 달리던 선친의 어부인이기도 하였다 학교 가는 길에 들렸다던 일본 상점의 이름들을 사관처럼 늦게까지 외고 있었다 친목계의 회계를 도맡곤 하였으나 사 공주와 육 왕자를 한 몸으로 치루어 냈으나 제위 기간 태평성대라곤 비치지 않았던 비련의 왕비이기는 하였다

막내 여동생을 태우고 발해로 가는 저녁은 사방이 아직 어두워 있었다 산협들을 연거푸 벗어나자 곤궁했던 시절의 헐한 수라상 위의 김치죽 같은 새벽빛이 차창 위에 어렸다가 빠르게 엎질러지고는 하였다 변방의 마을들이 숨을 죽여 잠들어 있었다

병동의 복도는 사라진 나라의 옛 해안처럼 길었고 발해는 거기 눈을 감고 있었다 발목이 물새처럼 가늘어 보여서 마침내 발해였을 것 같았다 사직을 닫은 해동성국 한 구가 아직 닿지 않는 소자들 보다 먼저 영구차에 오르자 가는 발목을 빼낸 자리는 발해의 바다 물결이 와서 메우고 갔다 발해처럼만 같았다


(시와 사람 2018 봄)




서울

정윤천



옛날 사람들은 거의 못 갔고 요즘 사람들은 그만저만 간다 향이나 부곡에 사는 이들에겐 북경이나 뉴욕 같기도 한 서울 언젠가 유홍준 선생이 친히 나서 종묘와 사직에 대해 들려준 적이 있었는데 死後를 옹립한 자리여서인지 종묘 사진 속의 종묘는 적막했다 서울 사람들도 잘 안 찾는 곳이라고 선생은 부언했다 종묘 바깥의 서울은 종묘보다 늘 시끄러운 것 같았다 배울 것도 기릴만한 것도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가 아니어도 쬐던 나이롱 목 폴라처럼 얼른 벗고 싶어지던 서울 족히 영 점 일 톤씩은 넘어 뵈는 뚱딴지 남녀는 어울려 식탐을 치르는 먹방 프로 같은 건 그만 닥치라고 일러주고 싶었다 마음 고픈 마을들이 위 아랫께엔 아직 남아있었다 살아서 몇 번이나 더 갈른지 모르겠지만 내기까지 해대며 넣고 또 처넣던 서울에는.


(다시올 문학 2018 봄 여름)




목적도 없이

정윤천



헌 신을 버리고 새 신을 삽니다 괜찮습니다
헌 시를 버리고 새( )를 씁니다 괜찮습니다
뒤꿈치가 한 사날 불편할 수 있습니다
잠옷 차림의 하숙 주인 여자가 두꺼비집을
내려버리고 들어갈지도 모릅니다

괜찮습니다

만약에
어느 자리에선가
내가 지금보다 고운 옷을 입고
높은 말을 주워 삼키는 일이 생기더라도
괜찮을지 모릅니다

저 위에
(시)자 하나가 빠져 있기도 합니다

목적도 없이
써야만 할 때도 있습니다.


(다시올 문학 2018 봄 여름)




인생

정윤천



祭文으로는 쌀쌀한 강물소리가 끼쳐 들었다 음복 아래 께의 자리에서 누군가는 제 인생의 허튼 표정 하나 마음먹고 불러내려는 심산이었는데 선영 앞의 강짜에 대하여 한 끗 높았던 이의 일성호가가 물소리보다 높아 있었다

오던 길에 아버지는 뒤로 처지는 눈치 같았다 돌아다보면 거기 당신의 인생도 헐떡이는 발뒤축에 묻어 있었다 모년 모일은 같아 보였다겨드랑이 털이 한참 기승을 부리던 곳으로는 일가의 토방 아래 장독 내음 정한한 기운이 따라붙어 있었다 말하자면 내 인생에게도 비쳐 들 검고 쓴 강물소리인들 같았다.


(문학 청춘 2017 겨울)




루마니아 동전

정윤천



삼킨 동전 한 개를 사이에 두고 젊은 아버지와 앳된 아들이 마당에서 보낸 하루가 있었다 동전을 기다리던 부자의 일에는 아버지의 꼬장한 성정이 도사려 있었다 오래고 먼 것들이거나 지루하고 다정했던 일들을 이해하기에 父性의 개론들은 지금도 당신의 마당처럼 깊어 보일 때가 있었다

아버지는 아들이 삼킨 동전을 당신의 생일처럼 궁구하며 있었는데 먼 훗날 루마니아처럼 멀고 까마득했던 동전이 당신의 부지깽이 끝에서가 아닌 꿈속에서 집혀지던 일이 못내 궁금해지곤 하였다

백수광부의 시절 속으로는 꿈에서 주워 올린 滑石의 날들이 루마니아 동전처럼 찾아 왔던 적도 있었다 깨진 활석 조각을 주웠던 손아귀를 풀면 오래 전에 삼킨 문양의 동전이 되어 있고는 하였다

한낮인데도 둘러앉아서 활석을 다투었던 이들의 판에서처럼 바닥에 깔아 놓은 신문지 위에서 아들의 인분을 헤집던 당신의 막대기 끝에서 같이 끗발을 고대했던 아들의 한 때가 꿈속에서 주워 올린 활석 조각의 일 같기는 하였다

루마니아도 루마니아 동전도 본 적이 없었는데 주었다가 흘린 한 닢의 낯선 문양에게로 루마니아 동전이라고 여겨 주었던 기억 너머에 해 끝이 노루귀만큼 남을 때까지 끝나지 않았던 판에서 같이 삼켜진 동전 한 닢은 좀처럼 나오지 않고 있었다

동전을 줍던 잠에서 깨어나면 손잡이에 땀이 찬 당신의 부지깽이 끝에서는 루마니아나 루마니아의 동전보다 먼데서 피었던 애기똥꽃 한 송이가 바람 속에 사뭇 살랑거려 주기도 하였다.


(문예바다 2017 겨울)




떨어진 감꽃을 주웠던 데

정윤천



주운

감꽃을 기워

목걸이를

만들었던 데

그네 집

마루에

놓고 올까

일백 한 편도 넘었던

시를

심쿵생쿵 주어모아는

보았던 데,


(시 현실 2017 겨울)




☆☆☆☆☆
지리산문학상은 지리산문학회가 주관하고 지리산문학제전에서 시상하는 문학상이다.

역대 수상 작품
2006년 1회 정병근
2008년 3회 김왕노 <쭉쭉 빵빵 사이로 오는 황진이>
2009년 4회 정호승 <물의 신발>외 4편
2010년 5회 최승자 <쓸쓸해서 머나먼>
2011년 6회 이경림 시집 <내 몸 속에 푸른 호랑이가 있다>[1]
2012년 7회 고영민 <반음계>외 5편
2013년 8회 시인의 빛나는 이미지와 이미지들의 충돌에서 드러나는 의미의 섬광, 의미들 너머에 숨 쉬고 있는 사유의 크기는 우리 시가 다다른 한 정점이라는 평가를 받은 홍일표 <밀서>외 5편[2]
2014년 9회 김륭 <달의 귀>
2015년 10회 "얼핏 스쳐 지나갈 수 있는 소소한 일상의 이면을 섬세한 감각의 깊이로 재구성하는 능력이 매 시편마다 잘 발휘된다" 류인서[3]
2016년 11회 말과 생각이 오종종 잘 모여서 마음을 움직이는 시편들이라고 평가받은 박지웅 <서큐버스>외[4]
2017년 12회 김상미 <우린 아무 관계도 아니에요>[5]

2018년 13회 정윤천


※ 상금 1,000만원.

추천0

댓글목록

활연님의 댓글

profile_image 활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한때 동인이셨고, 오랫동안 시를 안 쓰시다가 최근에 다시
시를 쓰시는 정윤천 시인님이 큰상을 받으셨습니다.
메일로 받은 시들을 제가 일정한 태그로 편집한 내용입니다.
문학가 소식일 것입니다만,
제가 알릴 상황이 아니라, 이곳에다 놓습니다.
이 자료를 참고로, 공지를 만드셔서, 적절하게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
누구의 청탁도 아니고,
제가 존경하는 시인이고, 또 한때라도 우리와 정을 나눈 사이였으므로
그 마음으로 올립니다.
현재는 창비에서 출간하는 시집을 준비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고,
새롭게 시를 선보이시려 노력하는 중인 것으로 압니다.
이곳 또한 시문학 공간이고,
시를 좋아하는 독자가 많으므로 널리 알려서 유익한 공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소견이지만,
지리산문학상은, 여타 권위 있는 문학상에 뒤지지도 않고,
치열한 경쟁과 심사를 통해, 문단의 일반적인 시류나 행태에
맞춘 것이 아니라, 엄격하게 시를 심사해서 수상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상자 면면을 살펴도, 그 이력을 짐작할 수 있겠지요.

이후 공식적인 발표가 있으면, 그 자료를 가져오겠습니다.

오영록님의 댓글

profile_image 오영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와 기쁜 소식이네요.//
편편 시도 너무 좋네요.
정윤천 시인님 이렇게 축하드립니다.
활연님 좋은 소식 올려 주시어 감사하고요.

서피랑님의 댓글

profile_image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반갑고 멋진 소식입니다. 아무나 받을 수 없는, 상이죠
한때 동인이었다는 사실도 기쁨...^^

축하 합니다. 문단의 한 페이지를 다시 쓰고 계신 분,,,,

최정신님의 댓글

profile_image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축하 합니다. 정윤천시인님...
수상으로 치자면 다소 늦은감마저 드는 참 사람냄새 그윽한 참시인,
편편 마음으로 읽히는 좋은시의 교과적 시편,
현존하는 시인 중 엄지를 세우며 마음 다해 축하 드립니다.

기쁜 소식 알려 주어 감사해요.

활연님의 댓글

profile_image 활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시창작에 매진…좋은 결과로 연결됐죠"
‘제13회 지리산 문학상’에 정윤천 시인 선정


정윤천 시인

“사업에 주력하느라 8년 동안 시(詩)를 쓰지 못했습니다. 시단에 복귀하고 싶었으나 상황이 되지 않았고, 다만 간헐적으로 발표를 했죠. 시를 써야되는데라는 안타까움이 늘 있었어요. 결국 내가 갈 수 있는 곳은 시 밖에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지난 2년 동안 시창작에 매진했더니 좋은 결과로 연결된 것 같습니다.”

지리산 문학회와 계간 ‘시산맥’은 ‘제13회 지리산문학상’ 수상자로 전남 화순 출생 정윤천(58) 시인이 이처럼 수상 소감을 밝혔다.

정 시인은 월간 웹진 ‘공정한 시인의 사회’에 게재됐던 ‘새들의 무렵 같은’ 등 시작품 10편이 심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새들의 무렵 같은’ 새가 우리 일상적인 민초들을 의미하는데 세간의 계급에 살다가 오후 퇴근 무렵이 되면 제각각 풀려나와 자유를 얻는 것처럼 힘든 시간을 보내고 나면 오늘이나 근간의 기억 모두 잊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스스로 잊어버리자고 하는 마음가짐이 투영돼 있다. 새들의 무렵에 깃든 모든 좌절과 자조를 극복하고 희망을 반추해보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수상작 5편은 계간 ‘시산맥’ 가을호에 소개될 예정이다.

올해 문학상 수상 대상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 동안 국내 문예지에 발표된 시작품과 시집을 대상으로 했으며, 지난 8일 본심을 통해 결정됐다.

정 시인은 수상자로 선정된 뒤 “쓸데없이 쓸쓸했다. 먼 데를 혼자서 바라보는 날들이 길어지면서, 그 후미짐의 변방을 소요하다가 지치곤 했다. 다시 말(語)의 집으로 들기까지 지루한 석양녘이 천 번인들 더 지나갔을 것 같았다. 그저 시가 왔으면 하는 마음으로 자주 방문 너머에 목을 빼물기도 했다”고 그동안의 소회를 토로했다.

정윤천 시인은 광주대학교를 졸업했으며, ‘실천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생각만 들어도 따숩던 마을의 이름’(실천문학), ‘탱자 꽃에 비기어 대답하리’(새로운 눈), ‘흰 길이 떠올랐다(창작과비평) ‘구석’(실천문학)을 펴냈고, 시화집 ‘십만 년의 사랑’(문학동네)을 출간했다. 광주·전남 작가회의 부회장과 계간 ‘시와 사람’ 편집 주간 등을 역임했다.

그동안 지리산 문학상은 정병근 김왕노 정호승 최승자 이경림 고영민 홍일표 김륭 류인서 박지웅 김상미 시인이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시상식은 오는 10월6일 지리산 문학제에서 열릴 예정이다. 상금은 1000만원이다.

고선주 기자 rainidea@gwangnam.co.kr

Total 799건 1 페이지
시마을동인의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799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 1 03-28
798
나이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6 0 03-25
797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 0 03-25
796
비금의 계절 댓글+ 1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0 0 03-21
795
아해야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 0 03-19
79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 0 03-18
793
벌거숭이 댓글+ 1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 0 03-14
792
구름 고향 댓글+ 4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 1 03-09
791
이방인 2 댓글+ 3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 0 03-07
790
오늘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 0 02-29
78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 0 02-28
788
정월 댓글+ 1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 0 02-24
787
목어目語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 0 02-21
786
갓바위 댓글+ 1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 0 02-15
785
우화정 댓글+ 2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 0 02-09
78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 0 02-05
783
싸락눈 댓글+ 1
김용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 0 02-03
782
고사리목 댓글+ 4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 0 01-26
781
모래 경단 댓글+ 3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 1 01-20
780
두 사람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7 0 01-20
779
낙타 댓글+ 1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 0 01-13
778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 0 01-12
777
비빔밥 댓글+ 1
김용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5 0 01-08
776
주문진 2 댓글+ 3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 1 01-07
775
희망봉 등대 댓글+ 4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 0 01-05
774
시(詩) 댓글+ 6
김용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8 0 01-02
773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3 2 01-02
772
숨과 쉼 댓글+ 8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1 2 12-30
771
눈 송아리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 1 12-30
770
눈 오는 밤 댓글+ 6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2 1 12-23
769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6 2 12-22
768
동백 아가씨 댓글+ 4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 2 12-19
767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4 1 12-13
766
맛집 옆집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5 1 12-12
765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 1 12-10
764
주문진 댓글+ 5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4 1 12-08
763
완벽한 계절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 2 12-05
76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1 12-05
761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 1 12-04
760
낙엽이 질 때 댓글+ 5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8 1 12-04
759
억새 댓글+ 7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9 1 11-25
758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9 2 11-23
75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 1 11-22
756
겨울장미 댓글+ 4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4 1 11-18
755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 1 11-15
754
장독대 댓글+ 5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5 1 11-12
753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 0 11-04
752
몹쓸 증후군 댓글+ 2
정연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 0 11-03
751
아라뱃길 댓글+ 3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 0 10-31
750
물집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 1 10-31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