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향기 기다리는 마음 > 함께 읽는 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함께 읽는 글

  • HOME
  • 지혜의 향기
  • 함께 읽는 글

(운영자 : 김용호)

   ☞ 舊. 함께 읽는 글

 

★ 마음의 양식이 되는 책 구절, 선인의 지혜로운 글 등을 올리는 곳입니다 
시나 영상시, 시감상문, 본인의 자작글은 다른 게시판(창작시, 영상시란, 내가읽은시 등)을 이용해주세요

☆ 저작권 위배소지가 있는 음악 및 이미지는 올릴 수 없습니다


가을 향기 기다리는 마음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건 조회 543회 작성일 18-10-18 11:03

본문


 



      가을 향기 기다리는 마음

      파란 가을 하늘 상쾌한 바람
      불어오는 날 온 천지 고운 단풍

      물들어 가면 아름다운 무지개
      피고 가을이 깊어 가는 길

      코스모스 춤추는 계절 아름다운
      가을은 내 마음에도 고운
      향기처럼 흐르며

      서늘한 바람불면 창가에
      귀뚜라미 노랫소리

      은은히 들리는 내 마음의
      소리 그 향기 가득 담으며

      님 그리운 가슴에 따끈한
      차 한 잔 그리워라

      그 잔에 사랑의 설탕 가득
      넣고 기다림 마음의 그림자

      찻잔 속에 흐르는 그윽한
      향기에 묻혀 취하고

      따스한 찻잔에 그리움 묻어
      나면 아득한 그 향기 속으로

      아름다운 가을 단풍 길을
      다정히 걷고 싶어서

      단풍이 물들어 오는 향기로운
      길 차분히 님을 기다리며

      은빛 반짝이며 춤추는 드넓은
      억새꽃밭으로 반짝이는

      아름다운 한 폭의 그림
      가을 향기 그대의 마음

      살며시 찾아오는 이 가을
      향기 기다리는 마음

      그리운 계절 떠오른 님의
      그림자 아∼가을 깊어만 가고

      계절의 감성 가을의 심성으로
      그대 기다리고 푸른 잎

      계절의 변화 빚어낸 풍경
      예쁜 단풍 가슴으로 보고

      내 마음에 가을은 한없이
      아름다운 사랑이여

      쪽빛 하늘 저 멀리 이 마음
      전하고 바람결에 기다리는

      마음 님 오실 그 날을
      손꼽아 기다립니다.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영상제작 : 동제



 



      당신은 무엇을 가지고 다니십니까

      사랑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친구가 있고

      선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외롭지 않고

      정의를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함께 하는 자가 있고

      진리를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듣는 사람이 있으며

      자비를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화평이 있으며

      진실함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기쁨이 있고

      성실함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믿음이 있고

      부지런함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즐거움이 있으며

      겸손함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화목이 있으며

      거짓 속임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불신이 있고

      게으름과 태만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멸시 천대가 있고

      사리 사욕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원망 불평이 있고

      차별과 편견을 가지고 가는 자는
      가는 곳곳마다 불화가 있다

      당신은 무엇을 가지고 다니십니까?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영상제작 : 동제




 



      비비의 친절

      아일랜드에 있는 피츠제럴드 가의 "문장"에는 아기를 나르고 있는
      비비라는 원숭이가 새겨져 있다.
      그리고 그 그림 아래에는 "그의 친절함을 잊지 못하며"라는 라틴어로 된
      제명이 쓰여 있었다.
      어떻게 해서 문장에 그와 같은 그림과 제명이 새겨지게 되었는가?
      여기에는 대단히 재미있는 사연이 전해 내려온다.

      오래 전에 한 가족이 전쟁 때문에 피난을 가게 되자, 모든 집안 일을
      한두 명의 늙은 하인들과 하녀들에게 맡겼다.
      그런데 갑자기 적이 그 집안에 쳐들어오자 모든 사람들은 다 도망가 버렸다.
      너무 급히 도망치는 바람에 하인들은 그 집의 상속자인 아기를
      깜박 잊어버리고 도망쳤다.
      그 때 아기가 아직 집 안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애완용 원숭이
      비비가 요람으로 달려갔다.
      그리고는 아기를 입에 물더니, 사람들이 그를 볼 수 있도록
      지붕꼭대기에 올라갔다.

      아기를 문 비비가 지붕 위에 있는 것을 본 하인들은 모두 공포에 질려 버렸다.
      그러나 비비는 아기를 땅에까지 안전하게 옮겨왔다.
      그 아기의 아버지가 돌아왔을 때 그는 자신의 상속자를 구해준 것이
      말 못하는 동물임을 알았다.
      그는 비비라는 원숭이에게 무한한 은혜를 입었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가문의 문장 중앙에 그 원숭이를 새기라고 명하였다.
      또한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문구를 그 아래 새겨 넣으라고 하였다.

      "그의 친절함을 잊지 못하며."




          영상제작 : 동제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입술로만 사랑하지 말고 따뜻하게 안아 주세요.

      우리는 누군가 나를 포근히 안아주길 바랍니다.
      편안하게, 진심으로 따뜻하게 사랑해 주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런 사람이 내 곁에 있어주길 바랍니다.

      여자만 그렇게 바라는 게 아닙니다.
      남자도 그렇습니다.

      어린이도 누군가 자기를 안아주고 인정해 주길 바라고,
      늙고 쇠잔해져 가는 사람들도 안아주고
      위로해 주는 사람이 곁에 있어주길 바랍니다.

      모든 사람들은 마음속으로 사랑 받기를 갈구합니다.
      지금 우리는 너무 외롭게 살고있습니다.
      그러니 당신이 먼저 따뜻한 사랑으로 안아 줘 보세요.

      그 상대가 사람이든 다른 것이든 따뜻하게 먼저 안아주면
      그도 당신을 따뜻하게 안아줄 것입니다.

      출처 :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 중에서





          영상제작 : 동제



 



      가두리 꿩 사냥

      수꿩은 어느 한 산에 한 마리밖에 살지 않는다.
      일부다처이긴 하지만 자신이 행세하는 영역 밖에 사는 남의
      각시 꿩들을 넘보거나 추파를 던지는 법이 없다.
      이렇게 남녀유별하다 하여 시어(詩語)에서
      꿩을 덕조(德鳥)라 곧잘 읊었던 것이다.

      만약 바람기 있는 암컷이 옆 산의 남의 서방 꿩에 추파를
      던지는 일이 있으면 수놈끼리 피투성이의 결투를 벌인다.
      어느 한쪽이 죽거나 두 마리 다 죽거나 하는 사생결단이지,
      약세라 하여 도중에 도망치거나 하는 법이 없다 한다.

      옛날 무신들이 머리에 꿩 깃을 꽂고 다닌 이유는 바로 사생 결단하는
      수꿩의 용기를 숭상하고 본뜨기 위한 것이라 한다.
      또한 자신이 활동하고 지배하는 영역을 보호 사수하는 영역 감각이
      대단한 속성도 무신이 꿩 깃을 꽂고 다니게 한 요인이라고도 한다.
      옛 병법에 보면 수꿩이 지배하는 영역 그대로를 요새화하면
      난공불락이라 하여 치성(雉城)들을 많이 쌓고 있기도 하다.

      꿩이 우리 한국인의 인상에 좋게 아로새겨진 데는 그밖에
      강인한 모성애 때문이기도 하다.
      산불 속에서 제 새끼가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으면 그를 구하러
      날아들어 타 죽거나 알을 품고 있는 중에 산불이 나면 불에
      타 죽을지언정 날아가지 않는다는 것은 알려진 꿩의 습성인 것이다.

      뿐만 아니다.
      은혜를 입으면 보은한다는 새로도 알려져 있다.
      구렁이한테 감겨 죽어가고 있던 꿩을 살려준 한 서생에게
      그 꿩이 죽음으로써 보은한 설화에서 치악산(稚岳山)이란 산 이름과
      상원사(上院寺)가 연기(緣起)되고 있다.

      그런 꿩을 가로 세로 겨우 7-8 미터 남짓한 방에 가두어놓고
      석궁을 쏘아 살생하는 가두리 꿩 사냥이 성행하고 있다 한다.

      장마가 지면 길에 나다니는 벌레를 밟더라도 죽이지 않게 하고자
      오합혜(五合鞋)라는 느슨하게 삼은 짚신을 신고 나들이했던 우리 선조요,
      피를 빠는 이를 잡더라도 죽이지 않고 보살통(菩薩筒)이라는
      대통에 담아 나뭇가지에 매어두었을 만큼 살생에서 초연한 조상들이었다.
      그 후손들의 동물 학대가 이 지경에 이르고 보니 충격이 더 크다.
      짐승을 가두어 놓고 쏘는 가두리 사냥을 한 사람은 아마도
      우리 역사에서 연산군 밖에 없었을 것이다.

      당시 사냥을 삼가길 상소하는 소문에 보면, 짐승은 가두어 놓고 쏘지 않으며,
      불을 지르거나 물을 등지게 하고서 몰지 않으며, 새끼와 더불어 있으면
      쏘지 않으며, 쫓겨 가다가 지쳐 도망치기를 멎고 돌아보고 서 있으면
      쏘지 않으며, 떼 지어 있으면 놀라게 하여 분산시킨 다음
      한 마리만 쫓는 것이 엽도(獵道)라고 했으니 너무나 인간적인
      사냥 정신이 우리에게 계승돼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데도 하필이면 온 세상이 자연 환경과 동식물 보호에 눈을 벌겋게
      뜨고 있는 이 시점에 그 못된 짓을 자행하다니 말이다.




          영상제작 : 동제
 

추천0

댓글목록

Total 11,242건 4 페이지
함께 읽는 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11092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 1 01-28
11091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1-28
11090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 1 01-28
1108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 1 01-28
1108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8 0 01-28
11087 무상심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1-27
11086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1-27
11085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 1 01-27
1108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 1 01-27
1108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1 01-27
11082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 0 01-26
11081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 1 01-26
1108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 0 01-26
1107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 1 01-26
11078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 0 01-25
11077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 0 01-25
11076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 0 01-25
11075 개도령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 0 01-24
11074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1-24
11073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 0 01-24
1107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 0 01-24
1107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5 0 01-24
11070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 0 01-23
11069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 0 01-23
1106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 1 01-23
1106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1 01-23
11066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 1 01-22
11065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 0 01-22
11064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 1 01-22
11063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 0 01-21
11062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 0 01-20
11061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1 01-20
11060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 0 01-19
11059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 0 01-19
11058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 1 01-19
11057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1 01-18
11056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 0 01-18
11055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 0 01-17
11054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 1 01-17
11053 무상심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 0 01-16
11052 세잎송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 1 01-16
11051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 0 01-16
11050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 1 01-16
1104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 0 01-15
1104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 1 01-15
11047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 0 01-15
11046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 0 01-15
1104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 1 01-14
1104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 0 01-14
11043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 1 01-14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